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릴스, 쇼츠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 - 도파민 중독 해결책

by 건빼시 2023. 7. 9.

릴스, 쇼츠를 하루종일 보게 돼요

여러분들은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좋아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자기 전이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등 남는 시간에 유튜브 쇼츠와 인스타그램 릴스를 자주 보면서 시간을 보낼 때가 많은데요.

'그냥 남는 시간에 10분만 보자'라는 생각에 휴대폰을 켜면 한두 시간은 훌쩍 넘어가 있는 경험을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

 

근데 왜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그램 릴스를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계속해서 빠져들게 될까요?

요즘 많은 매체에서 계속해서 언급되고 있는 '도파민 중독' 때문입니다.

 

 

오늘은 도파민 중독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끊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파민이란?

사람들에게 행복과 쾌락을 주는 호르몬 중 하나로 알려진 도파민은 즐거움, 동기 부여, 보상 추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거창한 행복과 즐거움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운동이나 독서, 개인적인 목표 달성 등과 같은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사용이 보편화된 현대 사회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도파민의 쾌락에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서 도파민 중독이 큰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도파민 중독의 예시 '숏 폼 비디오'

스마트폰으로 인한 도파민 중독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등의 짧은 동영상들입니다. 이러한 숏 폼 비디오는 1분 이내로 지속되며 가볍고, 재미있으며, 요점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제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영향력이 있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극적인 콘텐츠에 장시간 노출이 된다면 체내 도파민 비율의 불균형으로 우울증, 불안, ADHD와 같은 정신질환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팝콘 브레인 현상

이런 숏 폼 비디오를 반복적으로 오랜 시간 보게 되면 우리의 뇌는 '팝콘 브레인'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팝콘 브레인 현상은 뇌가 디지털 화면의 자극에만 반응하며 타인의 감정이나 느린 속도의 실생활에 무감각해지며 더 강한 자극을 끊임없이 갈망하는 상태가 됩니다.

심지어는 글을 읽거나 이해하는 속도가 감소하고 전반적인 문해력 또한 줄어들게 되어 숏폼 비디오 이외의 콘텐츠를 소비하기 힘들게 됩니다.

 

 

 

도파민 중독 해결책

이러한 숏 폼 비디오의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중독에 대한 문제 인식을 하는 것입니다. 유튜브 쇼츠나 인스타그램 릴스를 오랫동안 보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면 자신이 도파민 중독을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문제를 인식했다면 중독성 행동에 대한 명확한 경계를 설정합니다. 내가 앞으로 할 일이 없다고 하더라도 영상을 보는 시간을 명확하게 정해두고 시청을 하며 시청 시간이 지나고 난 다음 할 행동도 미리 정해놓고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최선을 다하고 인내하며 중독을 끊기 위해 계속 시도하는 겁니다. 이미 도파민 중독으로 망가진 뇌는 하루이틀 노력한다고 해서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당연히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도파민의 보상 체계는 엄청나게 강력해서 의지로 끊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중독을 끊어내는 것에 만약 실패한다고 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시도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뇌의 도파민 보상 체계도 점점 정상으로 돌아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