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말라리아 증상 예방접종? 예방약!

by 건빼시 2023. 7. 26.

말라리아는 말라리아 기생충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염되는 심각한 열성 질환입니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만연한 우려 사항이지만, 한국에서는 5월에서 10월 사이에 휴전선 접경 지역(강원도 북부, 경기도 북부, 인천 등)에서 국내 말라리아 발병이 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지역에 거주하거나 해외여행을 할 계획이라면 말라리아를 예방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라리아 모기

 

국내에서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속의 모기들은 4월에서 10월 사이, 특히 일몰 후와 일출 직전에 가장 활동적입니다. 말라리아는 원생동물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사람에게 감염될 수 있는 5가지 종류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기생충 감염만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의 주요 발병지역은 인천, 경기북부, 강원북부 지역으로 연간 약 400~500건의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국내 사례

2016년: 602명

2017년: 436명

2018년: 501명

2019년: 485명

2020년: 356명

 

해외유입

2016년: 71건

2017년: 79건

2018년: 75건

2019년: 74건

2020년: 29건

 

말라리아 발생에 대한 자세한 통계는 감염병포털(http://npt.kdca.go.kr)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 예방약

 

말라리아는 안타깝게도 예방백신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고로 적절한 예방약을 선택하여 복용해야 합니다.

말라리아 예방약은 전문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 처방 후 복용해야 합니다.

 

말라리아 유행지역 여행 1~2주 전에는 메플로퀸이나 클로로퀸을 복용합니다.

 

여행 1~2일 전에는 독시사이클린,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과 프리마퀸을 복용합니다.

 

예방약은 여행지에서도 계속 복용하며, 여행지역을 벗어난 후에도 4주간 클로로퀸, 독시사이클린, 메플로퀸을 복용하거나 또는 7일간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을 복용해야 합니다.

 

 

 

주요 증상 및 진단

 

말라리아는 발열, 오한, 발한,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 구토, 설사 등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한국에서는 '삼일열 말라리아'가 흔한데 하루는 열이 나고 다음날 열이 안 나고 3일째 다시 열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말라리아는 잠복기가 다양하므로 증상이 즉시 나타나거나 말라리아 기생충에 노출되고 1년 후에 나타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말라리아는 다행히 사람간의 전염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말라리아가 의심되는 경우 특히 말라리아 발병 지역을 방문한 경우 즉시 의료 기관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신속진단검사(RDT)는 15분 만에 말라리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조기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

 

 

 

치료약

 

말라리아에 감염되면 최대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중 혹은 여행 후 1년까지 심한 발열증상이 있거나 독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말라리아 치료용 의약품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관리 및 보관하고 있으며 말라리아를 진단받을 시 치료약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말라리아는 정말 무서운 질병이지만 적절한 예방 조치를 통해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말라리아 발생 위험지역의 주민분들은 이러한 예방조치를 잘 인지해서 말라리아를 예방하고 조기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다른 정보가 궁금하다면?

 

2023.07.25 - [건강정보] - 아침 운동 vs. 저녁 운동: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

 

아침 운동 vs. 저녁 운동: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

아침 운동 vs. 저녁 운동: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일까? 자기 계발의 시대라고 할 만큼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바쁜 직장인들이나 학생들의 경우에는 운동을 할

healthyin4.tistory.com

 

2023.07.19 - [건강정보] - 극한 호우 대피요령 행동요령

 

극한 호우 대피요령 행동요령

이번 장마 시즌에는 '극한 호우'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할 정도로 정말 많은 비가 양동이로 퍼붓듯이 쏟아져 내렸는데요. 정말 안타깝게도 이번 극한 호우로 인해 41명의 사망자(경북 17명, 충남 4

healthyin4.tistory.com

 

2023.07.16 - [건강정보] - 유방암 유발하는 제로 감미료 아스파탐?

 

유방암 유발하는 제로 감미료 아스파탐?

최근 제로칼로리 열풍에 힘입어 다양한 식품에 널리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주장 중 하나는 아스파탐과

healthyin4.tistory.com